최근 야구 경기를 보다가 투수의 성적을 나타내는 평균자책점 계산기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. 경기 중계에서 자주 등장하는 수치이지만, 정확한 계산 방식은 잘 모르고 있었던 터라 개인적으로 찾아보게 되었고요. 알아보니 생각보다 간단한 수식으로 계산할 수 있었고, 이왕 찾은 김에 직접 웹 계산기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평균자책점이 어떤 의미인지 간단히 정리하고, 제가 직접 만든 평균자책점 계산기와 그 이용 방법을 공유드리겠습니다. 야구를 좋아하거나 관련 정보를 블로그에 다루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
평균자책점 이해하기
평균자책점은 야구에서 투수의 활약을 수치로 표현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. 경기 중에 중계진이 자주 언급하는 수치 중 하나이며, 투수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경기를 운영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.
이 수치는 투수가 내준 자책점을 기준으로 9이닝(한 경기) 동안 몇 점을 실점했는지를 계산해 보여줍니다. 즉, 투수가 실제로 얼마나 실점을 했는지를 시간(이닝)을 기준으로 평균화한 값입니다.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평균자책점(ERA) = (자책점 × 9) ÷ 투구 이닝 수
예를 들어 자책점이 3점이고, 7.1이닝(7과 1/3이닝)을 던진 경우, 평균자책점은 약 3.68로 계산됩니다. 이처럼 간단한 수식을 통해 투수의 성적을 수치화할 수 있어, 팀 전략 분석이나 팬들 간의 토론에도 자주 활용됩니다.
직접 만든 평균자책점 계산기
위의 수식을 토대로 간단한 자바스크립트 웹 계산기를 만들어 보았습니다.
⚾ 평균자책점(ERA) 계산기
테스트 결과 모바일 환경에서도 무리 없이 동작합니다. 특별한 설치나 로그인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, 간단하게 평균자책점을 계산하고 싶은 분들에게 편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이용 방법
직접 만든 평균자책점 계산기는 매우 직관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아래의 절차에 따라 입력하면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먼저 자책점(Earned Runs) 숫자를 입력합니다. 경기 중에 투수가 허용한 자책점 수치를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.
- 이어서 투구 이닝 수(Innings Pitched)를 입력합니다. 예를 들어 7과 1/3이닝을 던졌다면 7.1처럼 소수점 단위로 입력합니다.
- ‘계산하기’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평균자책점이 계산되어 결과가 아래에 표시됩니다.
이 계산기는 야구 팬뿐만 아니라, 관련 콘텐츠를 다루는 분들에게도 유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.
마치면서
야구를 좋아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통계에도 관심이 생기게 됩니다. 평균자책점 계산기는 그러한 관심에서 시작된 작은 시도였고, 직접 만들어보니 의외로 간단하면서도 유용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이 포스팅을 통해 평균자책점에 대해 더 쉽게 이해하고, 필요할 때마다 직접 계산해볼 수 있는 방법을 공유드릴 수 있어 뿌듯하게 느껴집니다.
평균자책점 계산기는 앞으로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고, 야구 통계에 흥미가 있다면 한 번쯤 직접 만들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함께하면 좋은 글:야구에서 워닝트랙 의미(Feat. 워밍트랙, 원인트랙, 러닝트랙)